수문학repor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6 21:21
본문
Download : 수문학report.hwp
연도 연도별우량(mm) 연도 연도별우량(mm) A관측소 25개관측소평균값 A관측소 25개 관측소 평균값 1973 564 793 1955 671 1082 1972 556 686 1954 518 701 1971 930 1158 1953 846 998 1970 884 892 1952 655 709 1969 635 853 1951 739 754 1968 861 1052 1950 853 853 1967 549 709 1949 1448 1082 1966 914 1113 1948 960 846 1965 686 701 1947 823 815 1964 648 867 1946 968 823 1963 671 846 1945 1311 907 1962 610 739 1944 1166 1052 1961 853 793 1943 914 686 1960 884 998 1942 960 937 1959 617 693 1941 983 846 1958 808 701 1940 922 945 1957 724 693 1939 907 838 1956 853 937 1938 1242 1029 이중누가우량 분석에 의하여 A관측소의 우량기록의 일관성을 검사하여 몇 년도부터 변화가 생겼는지를 확인하라. 변화가 생기기 시작한 연도 이후의 A관측소 연 우량을 수정하여 연 평균우량을 산출하고, 이를 수정 전의 A관측소 연 평균우량과 비교하라. ~~~~ 문제 3-13)현재 우리나라 5대강 유역내에 설치되어 있는 자기 및 보통 우량관측소의 위치 및 관측시작연도를 표시하는 목록표를 작성하라 까지 있습니다.
1939
983
693
1166
846
~~~~
1950
1956
998
709
793
914
A관측소
815
1953
수문학
25개관측소평균(average)값
순서
1959
A관측소
1968
983
853
1158
853
701
701
1973
1448
1951
945
1960
1952
846
610
1942
1947
922
이중누가우량 분석에 의하여 A관측소의 우량기록의 일관성을 검사하여 몇 년도부터 變化가 생겼는지를 확인하라. 變化가 생기기 스타트한 연도 이후의 A관측소 연 우량을 수정하여 연 평균(average)우량을 산출하고, 이를 수정 전의 A관측소 연 평균(average)우량과 비교하라.
까지 있습니다. 정답) 약 86.6% 문제 3-2)어떤 우량 관측소 A에서의 연도별 총 우량과 부근에 위치한 25개 우량관측소에 대한 장기간의 연 평균 우량은 다음 표와 같다.
937
1963
1965
A관측소
1954
617
724
정답) 약 86.6%
709
686
1952
1969
867
867
739
968
846
907
686
1973
686
693
1029
1964
823
549
914
846
671
937
이중누가우량 분석에 의하여 A관측소의 우량기록의 일관성을 검사하여 몇 년도부터 변화가 생겼는지를 확인하라. 변화가 생기기 시작한 연도 이후의 A관측소 연 우량을 수정하여 연 平均(평균)우량을 산출하고, 이를 수정 전의 A관측소 연 平均(평균)우량과 비교하라.
884
907
648
823
1311
1959
655
686
1951
25개관측소平均(평균)값
1242
연도별우량(mm)
1969
635
1949
853
853
1963
1941
1956
671
Download : 수문학report.hwp( 80 )
1970
838
1082
907
724
문제 3-2)어떤 우량 관측소 A에서의 연도별 총 우량과 부근에 위치한 25개 우량관측소에 대한 장기간의 연 平均(평균) 우량은 다음 표와 같다. 1242
이를 이용하여 문제를 풀면 100(%) x cos30° = 약 85.6%가 된다. 이를 이용하여 문제를 풀면 100(%) x cos30° = 약 85.6%가 된다.
1957
1972
정답) 약 86.6%
1964
709
1958
1953
1944
연도
556
648
연도별우량(mm)
1938
1052
564
1082
1949
853
1968
1948
1946
846
754
수문학report
~~~~
914
808
930
문제 3-1) 연직방향으로 비가 내리고 있을 때 연직선과 30°의 경사를 이루고 있는 우량계에 집수되는 우량은 연직방향으로 설치된 우량계에 집수되는 양의 몇 %가 되겠는가?
701
815
853
1946
1961
892
930
610
846
1970
1943
1941
1945
1113
892
617
960
556
671
1940
945
518
1954
문제 3-13)현재 우리나라 5대강 유역내에 설치되어 있는 자기 및 보통 우량관측소의 위치 및 관측스타트연도를 표시하는 목록표를 작성하라
문제풀이) 연직방향은 지면과의 수직방향이고 연직선과 30°의 경사를 이루고 있으므로 연직선과 0°일 때 우량계에 집수되는 우량을 cos0°로 정하였을 때 cos0°=1 이된다
문제 풀이 레포트 문제 3-1) 연직방향으로 비가 내리고 있을 때 연직선과 30°의 경사를 이루고 있는 우량계에 집수되는 우량은 연직방향으로 설치된 우량계에 집수되는 양의 몇 %가 되겠는가? 문제풀이) 연직방향은 지면과의 수직방향이고 연직선과 30°의 경사를 이루고 있으므로 연직선과 0°일 때 우량계에 집수되는 우량을 cos0°로 정하였을 때 cos0°=1 이된다.
709
1029
739
853
1967
1082
884
793
1971
연도
518
1113
937
A관측소
1950
1158
960
686
907
861
968
1166
693
1960
564
25개 관측소 平均(평균)값
960
1943
998
823
문제 풀이 레포트
635
연도
808





25개 관측소 평균(average)값
1947
1052
861
998
문제 3-13)현재 우리나라 5대강 유역내에 설치되어 있는 자기 및 보통 우량관측소의 위치 및 관측시작연도를 표시하는 목록표를 작성하라
1938
686
1962
739
701
이를 이용하여 문제를 풀면 100(%) x cos30° = 약 85.6%가 된다
701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693
1311
연도별우량(mm)
823
1448
문제 3-2)어떤 우량 관측소 A에서의 연도별 총 우량과 부근에 위치한 25개 우량관측소에 대한 장기간의 연 평균(average) 우량은 다음 표와 같다.
1958
846
793
1965
1972
838
1052
1966
1940
739
1967
549
937
문제 풀이 보고서
설명
884
1948
1962
1942
문제 3-1) 연직방향으로 비가 내리고 있을 때 연직선과 30°의 경사를 이루고 있는 우량계에 집수되는 우량은 연직방향으로 설치된 우량계에 집수되는 양의 몇 %가 되겠는가?
793
1052
연도
754
701
655
1955
853
1939
671
998
922
914
853
846
853
1971
1966
1944
1961
문제풀이) 연직방향은 지면과의 수직방향이고 연직선과 30°의 경사를 이루고 있으므로 연직선과 0°일 때 우량계에 집수되는 우량을 cos0°로 정하였을 때 cos0°=1 이된다.
1957
1945
884
연도별우량(mm)
1955
1082
960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