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정보처리를 향한 한국어 의미역 체계의 구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4 02:42
본문
Download : 의미정보처리를 향한 한국어 의미역 체계의 구축.hwp
그러…(skip)






의미정보처리를 향한 한국어 의미역의 의미와 그 체계구축에 대해서 쓴 글입니다. 이에 대해 어떤 사람이 이렇게 평가한다. 의미역 목록의 합리성과 의미역을 구체적으로 확립하는 합리성을 어떻게 증명하는가? Fillmore가 그의 의미격(의미역)을 定義(정의)하는 표준은 인간이 그 주변에서 발생한 사건에 따라 내린 여느 유형의 판단이다.의미정보처리를향한한 , 의미정보처리를 향한 한국어 의미역 체계의 구축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Download : 의미정보처리를 향한 한국어 의미역 체계의 구축.hwp( 30 )
의미정보처리를 향한 한국어 의미역 체계의 구축
다. 이에 대해, 徐烈烱(1995)은 이상 수량이 적은 의미격들로 명사구가 문장구조에서 나타나는 각종 의미적 관계를 기술하면 부족하고 같은 격은 같은 관계를 나타나고 부동한 격은 부동한 관계를 나타나는데 아직도 멀다고 하며 어떤 부동한 관계는 하나의 격으로 표시할 수밖에 없고 그 중에서의 구별을 제대로 표시할 수 없다고 한다. 이러한 표준이 아주 모호함이 분명하다.
의미정보처리를향한한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2. 의미역의 확립 원칙
의미역의 확립에 있어서는 각종 관점이 있다 의미역 목록이 다를 뿐만 아니라 확립원칙도 다르다.
의미정보처리를 향한 한국어 의미역의 의미와 그 체계구축에 마주향하여 쓴 글입니다. 이를 감안하여, 의미역의 종류를 증가하는 것은 꼭 필요하고 그렇지 않으면 방대한 말뭉치에 대해 합리적인 의미적 해석을 할 수 없을 것이다. 기술상(技術上, technically)으로 볼 때 우리는 좋은 기술수단을 찾아내 그들(동사구문) 사이의 구별을 기술(記述, characterization) 해야 한다. Fillmore가 열거해낸 의미격은 너무 개괄적이기 때문에 동사의 구체적인 유별을 구분해내지 못해서 모든 동사구문에 대해 변별적인 의미적 해석을 할 수도 없다. Dowty(1991)가 제출한 원형유형(prototype)theory 은 theory 적으로 강한 의미해석능력을 가지게 되고 논리적으로 엄밀하지만 동사구문(문장)에 대한 기술에 있어서 충분하지 못하고 변별적인 의미적 해석을 하지 못하게 한다. 예컨대 이러한 판단은 “어느 사람은 무슨 일을 한다”, “무슨 일은 어느 사람에게 발생한다”, “어떤 일이 變化가 발생한다” 등을 포함하고 있다 (Fillmore, 1968) 이에 따라, 그는 일련의 논저에서 선후 16개의 의미격을 제출함으로써 문장의 명제구조(Proposition Structure)에서 동사와 명사 사이의 통사의미적 관계를 기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