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어가는 과정과 애도(큐블러와 로스의 죽음, 애도의 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0 14:34
본문
Download : 죽어가는 과정과 애도(큐블러와 로스의 죽음, 애도의 과정).hwp
그는 불치병으로 죽어가고 있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몇 개의 심리적 단계를 거쳐서 죽음에 이르게 된다고 제안하였다.
I. 큐블러-로스의 죽어가는 과정
시카고 대학병원 정신과 의사인 큐블러-로스(Kubler-Ross, 1969)는 시카고대학 병원에 입원한 500명의 중환자를 대상으로, 자신이 회복 불가능한 질병에 걸렸음을 알고 난 후에 나타내는 일련의 정서적 reaction 을 연구하였다.
4) 우울단계(depression stage)
죽을 수밖에 없는 현실을 받아들이게 된다된다.
5) 수용단계 (acceptance stage)
즉음 자체를 수용한다. 의사의 오진이라고 생각하고 죽을 것이라는 사실을 부인한다. 인생에서 아직까지 처리하지 못한 일이 남아 있기 때문에 그 일을 끝마칠 수 있을 때까지 살 수 있게 해 줄 것을 불가사의한 어떤 힘과 타협하고자 한다. 죽음을 수용함으로써 환자는 마음의 평화를 회복한 후 임종할 수 있다아
큐블러-로스의 연구는 우리 사회가 죽어가는 사람들의 정서적 욕구에 관심을 가지고 그들을 돌보아야 한다는 것을…(생략(省略))
Download : 죽어가는 과정과 애도(큐블러와 로스의 죽음, 애도의 과정).hwp( 31 )
레포트/의약보건
죽어가는 과정과 애도(큐블러와 로스의 죽음, 애도의 과정)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죽어가는 과정과 애도(큐블러와 로스의 죽음, 애도의 과정) , 죽어가는 과정과 애도(큐블러와 로스의 죽음, 애도의 과정)의약보건레포트 , 죽어 과정과 애도 큐블러와 로스 죽음 애도 과정
다.
3) 타협단계(bargaining stage)
자신이 죽어가고 있음을 인정하게 된다된다. 주위의 가족, 친지 그리고 일생동안 애착을 가지고 생활했던 모든 사물과 헤어질 수밖에 없다는 데서 오는 우울증이 나타난다.
2) 분노단계(anger stage)
`왜 나만 죽어야 하는가`라고 생각하며 건강하게 살고 있는 사람들을 부러워하고 원망한다.
죽어가는 과정과 애도(큐블러와 로스의 죽음, 애도의 과정)
설명
순서
죽어,과정과,애도,큐블러와,로스,죽음,애도,과정,의약보건,레포트
죽어가는 과정과 애도(큐블러와 로스의 죽음, 애도의 과정)
죽음에 직면하여 우리는 어떤 태도를 취하고 어떻게 죽어가는가 사람마다 각기 다른 모습으로 죽어가는가 아니면 보편적인 죽음의 양상이 존재하는가 또한 우리는 가까운 사람의 죽음에 어떻게 reaction 하는가 죽어가는 과정과 애도과정을 설명(explanation)한다.
1) 부정 단계(denial stage)
회복 불가능한 불치병에 걸렸다는 사실을 인정하려고 하지 않는다. 주위의 가족은 물론 의사나 간호사에게까지도 화를 내고 분노를 터뜨린다.